경기도지정 문화재 자료 제39호
문원리에 인접한 관문리의 일명사지에서 옮겨 왔다고 전해지고 있다.
단측기단과 3층탑신을 구비한 석탑으로 시멘트로 된 1단의 기단위에 놓았다.
지대석에는 각 면 2구씩 장방형액을 형성한 후 내부에 8괄호형의 안상(특수한 장식)을 1구씩 놓았다.
중대석은 1석으로 조성하였는데 4우(귀퉁이)에 우주를 모각하였고,1석으로 조성된 갑석을 올려 놓아 초층을 받치고 있다.
탑신과 옥개석은 각 1석으로 조성하였는데 3층탑신은 결실되었고, 2·3층 옥개석 역시 파손되어 시멘트로 보강하였다.
보광사 경내에 소장되어 있으며, 기단부에 보이는 섬세한 안상형 장식과 초층탑신면,
옥개석의 알렵한 반전에서 통일신라시대 후기 석탑 양식을 충실히 계승한 고려시대의 작품임을 알 수 있다.